7월 DSR 3단계 전면 시행! 수도권·지방 대출 규제 차이와 대출 한도 줄어드는 이유는?

반응형

7월 DSR 3단계 전면 시행! 수도권·지방 대출 규제 차이와 대출 한도 줄어드는 이유는

 

2025년 7월부터 DSR 3단계(스트레스 DSR)가 전면 시행되며, 수도권과 지방의 대출 한도와 심사 기준에 큰 변화가 생깁니다. 부동산 구매 예정자, 주택담보대출을 준비 중인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스트레스 DSR 3단계란?

스트레스 DSR 3단계란?


DSR(Debt Service Ratio,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은 연 소득 대비 연간 상환해야 할 원리금의 비율로, 대출 가능 한도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스트레스 DSR’은 여기에 금리 인상 리스크를 감안한 가산금리를 적용해 대출 심사를 더욱 보수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7월부터는 이 스트레스 금리가 1.5%p로 확대되며, 전면 적용됩니다.


DSR 3단계 주요 변화 정리

SR 3단계 주요 변화 정리

 

  • 스트레스 금리 상향: 기존 0.75%p → 1.5%p로 2배 상향
  • 적용 대상 확대: 수도권 모든 가계대출에 전면 적용 (주담대, 신용대출, 카드론 등 포함)
  • 지방은 유예: 지방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말까지 기존 기준(0.75%p) 유지
  • 신용대출 유예 기준: 1억 원 이하 신용대출에는 스트레스 금리 미적용

실제 대출 한도, 얼마나 줄어들까?

구분 7월 전 7월 이후 차이
연봉 5,000만 원
직장인 (수도권)
약 3억 1,400만 원 약 2억 9,700만 원 약 -1,700만 원
연봉 1억 원 고소득자 기존 대비 약 3,300만~1억 1,100만 원 감소 최대 -1억 이상


실제 대출 한도, 얼마나 줄어들까?



전반적으로 대출 한도는 평균 3~5% 감소
하며, 소득이 높을수록 감소 폭이 커집니다.


수도권 vs 지방, 적용 기준 차이

구분 수도권 지방(비수도권)
적용 시점 2025년 7월 1일부터 즉시 2025년 12월까지 유예
스트레스 금리 1.5%p 전면 적용 기존 0.75%p 유지
대상 모든 가계대출 주담대 일부만 해당

 

수도권 vs 지방, 적용 기준 차이


대출 준비, 이렇게 하세요!

  • 6월까지는 기존 기준 적용: 6월 말까지 계약 체결 or 모집공고 완료 시 2단계 기준 적용 가능
  • 대출 예정자 사전 점검 필수: 예상 한도 확인 및 금융기관 상담 권장
  • 변동금리·고액 대출은 주의: 금리 민감 대출은 감소 폭이 더 큼

결론: 지금이 대출 전략을 점검할 때!

지금이 대출 전략을 점검할 때!


2025년 7월 1일부터 수도권 전역에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적용되면서, 대출 한도가 줄어들고 심사 기준이 강화됩니다.

자금 계획, 내 집 마련, 투자 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현재 대출 계획이 있다면 6월 내 실행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규제 차이도 꼼꼼히 비교해, 불이익 없는 금융 전략을 세워보세요!

 

반응형